PBR Shading

PBR Shading

태그
BRDF
IBL
 
 
IBL을 적용한 엔진 PBR 색상 테스트 중 일부
IBL을 적용한 엔진 PBR 색상 테스트 중 일부
DGGX, SchlickGGX, HDR Enabled PBR
DGGX, SchlickGGX, HDR Enabled PBR
같은 PBR 라이팅을 엔진에 구현한 모습
같은 PBR 라이팅을 엔진에 구현한 모습

PBR 쉐이더를 구현한 계기

저는 기본 쉐이더로 PBR(Physically Based Rendering) 쉐이더를 선택했습니다.
이전에는 일반적인 블린-퐁 쉐이더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PBR이라는 개념에 흥미를 느껴 PBR 기반 렌더링을 구현하기로 결심했습니다. PBR은 현실적인 재질 표현을 위해 사용되며, 그 결과물은 더 현실적이고 입체적인 렌더링을 제공합니다.

PBR에 대해

PBR을 공부하며 작성한 블로그 글은 제가 PBR을 공부하면서 작성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부를 통해 PBR 쉐이더를 구현하게 되었고, 특히 금속 재질의 표현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PBR은 빛의 반사와 굴절을 물체 표면 특성에 따라 정밀하게 처리하므로, 금속과 같은 광택이 있는 재질을 표현할 때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공부하며 느꼈던 PBR과 기존 쉐이딩의 차이

PBR로 전환하면서 초기에는 기존의 쉐이딩 방식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IBL(Image-Based Lighting)을 도입하면서 PBR의 강점이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IBL을 사용하면 물체는 주변 환경의 색상과 조명에 맞게 자연스럽게 표현됩니다. 어떤 물체를 렌더링하더라도 주변 환경에 어울리도록 색상빛을 반영하므로 현실적이고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PBRIBL의 조합으로 더 현실적이고 멋진 렌더링을 달성한 경험입니다. PBR재질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IBL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렌더링을 더 생생하고 매력적으로 만들어줍니다.